CPI 와 PCE 물가 무엇이 더 중요한가?

 

흔히 물가 지표라 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바로 CPI 로 불리는 소비자 물가 지수(Consumer Price Index) 이다. CPI 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표 인플레이션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도시 거주 가계가 구매하는 소비재와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한편, 미국의 경우 PCE 물가, 즉,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물가 역시 자주 거론되곤 하는데 이는 Core(근원) PCE 가 미국 연준의 통화 정책 결정에 있어 참조되는 물가지수 이기 때문이다. Core(근원) 물가라 함은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물가 지수를 말한다. 사실, 연준은 99년 까지 Core CPI 를 활용하였으나, 2000년 들어 Core PCE 로 참조 물가 지수를 변경하였다. 이는 PCE 물가지수가 CPI 에 비해 몇가지 우월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CPI 와 PCE 의 차이점

첫째로, 물가 판단의 기준이 되는 품목 바스켓의 범위가 PCE 물가 지수 측이 더 넓다. CPI 는 도시 지역 소비자가 직접 지출하는 품목만을 바스켓에 포함하는 데 반하여, PCE 물가는 도시를 포함 전체 가계의 직접 지출 뿐아니라 타 주체에 의한 간접 지출 항목가지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PCE 물가가 경제 전반의 물가 수준을 판단하는데 보다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PCE 는 GDP 구성의 약 70% 까지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아래 차트는 PCE 물가와 CPI 의 바스켓 구성 항목 비중이다. PCE 가 CPI 에 비해 의료 지출 항목 비중이 높은 데 반하여 거주 비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에서, 두 물가 지표 비중 특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때때로 두 물가 지수 간 상승률에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상호 비중 차이가 심한 주거나 의료, 교통 물가 등의 급격한 변화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출처 : Morningstar

둘째로, PCE 물가와 CPI 는 물가 측정 기준이 되는 품목 비중 업데이트 주기에 차이가 있다. PCE 물가의 경우, 바스켓 비중을 분기 단위(일부 품목은 월 단위)로 조정해 보다 기민하게 소비 패턴 변화를 반영한다. 반면, CPI 의 경우 2년 마다 바스켓 비중이 조정되며, 그 또한 조정 시점의 바스켓 비중이 아닌 3년 가량 지연된 과거의 소비 패턴 정보를 활용한다. 이와 같은 바스켓 항목의 구성과 그 범위, 그리고 비중의 차이가 사실 PCE와 CPI 차이의 상당 부분을 설명한다.

셋째로, PCE 물가와 CPI 는 그 계산 방식 자체에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물가 지수는 계산 방식에 따라 크게 라스페이레스(Laspeyres) 식, 파셰(Paasche) 식, 피셔(Fisher) 식의 3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각 계산 방식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

(1) 라스페이레스 식 물가 지수는 특정 기준 시점의 상품 바스켓 을 현 시점의 가격으로 구입했을 때의 지출 총액을 기준 시점의 지출 총액으로 나누어 계산된다.

(2) 파셰 식 물가지수는 현 시점의 상품 바스켓 을 기준으로 현 시점의 가격으로 구입했을 때의 지출 총액을 기준 시점의 지출 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3) 피셔 식 물가지수는 위 라프레이스 식과 파셰 식 물가의 기하 평균 이다.

정리하면, 라스페이레스 식 물가 지수는 과거의 바스켓에 대한 물가 변화를 관찰하는 반면, 파셰 식 물가 지수는 현재 바스켓을 기준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물가 변화를 관찰한다. 이에 따라 소비자 효용을 기준으로 물가를 판단할 경우, 라스페이레스 식 물가 지수는 일반적으로 물가를 과대 평가하는 반면, 파셰 식 물가 지수는 물가를 과소 평가하게 된다. 이는 기존 품목의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이 대체재 위주로 변화하는 경우, 양 계산 방식 모두 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라스페이레스 식의 경우 소비자들이 이미 대체재를 소비하고 있음에도 기존의 품목을 기준으로 물가를 판별하기에 과대 평가하게 되며, 파셰 식의 경우 현재 소비 품목이 물가 상승으로 인한 대체재에 불과함에도 현재 품목만을 기준으로 물가를 평가하기에 소비자 체감 물가를 과소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것이 두 물가 계산 방식을 기하 평균한 피셔 식 물가지수 인것이다. CPI 가 바로 라스페이레스 식 물가 지수이며, PCE 물가가 피셔 식 물가 지수이다.

이처럼 전반전인 경기의 물가 수준을 판별하는 데에는 PCE 가 다소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PI 는 가장 대중적인 물가 지표로서, 물가 연동 채권과 같은 금융 상품들은 대개 CPI 에 연동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실제로 CPI 와 PCE 물가는 위와 같이 장기적으로 서로 동 방향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두 물가 지수의 차이를 이해하고 함께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바그_VAGUE
<참조 자료>
Kyle Brown. Comparing Price Measures-The CPI and the PCE Price Index. Bureau of Economic Analysis.
권성태. 미국의 인플레이션 측정방법과 시사점. 한국은행.
바그_VAGUE

Recent Posts

[PMI_구매관리자지수] ISM vs. Markit

주요 경제 지표 가운데, 흔히 PMI 라 불리는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agers' Index)가 있다. 경기의 확장 또는…

5년 ago

美연준의 금리 정책 수단, IOER 과 역REPO 금리

연준은 어떻게 기준 금리를 유지하는가?   우선 미국의 기준 금리는 우리나라와 달리 그 범위를 제시한다.…

5년 ago

중국 위안화 환율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중국 위안화 환율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Reuters/Petar Kujundzic    97년부터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달리,…

7년 ago

금리스왑(IRS; Interest Rate Swap)이란?

금리스왑(IRS; Interest Rate Swap)이란 무엇인가?    금리 스왑(IRS)란 무엇인가? Swap, 그러니까 뭔가를 서로 교환해서 바꾼다는…

7년 ago

중앙은행의 목표 인플레이션은 왜 2%일까?

2% 인플레이션 목표, 그 기원을 찾아서... <현대 중앙은행의 정책 프레임, 물가 안정 목표제> 에서 떡밥을 살포한대로,…

7년 ago

현대 중앙은행의 정책 프레임, 물가 안정 목표제(Inflation Targeting)

물가 안정 목표제(Inflation Targeting)에 대하여...   본질적인 이야기부터 먼저 시작해보자. 중앙 은행은 왜 물가를 관리해야 하는가?…

7년 ago